교통안전공단 자율주행 충격 실험 결과! 자동차 크루즈 컨트롤 기능, 너무 믿으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불스원입니다.
자율주행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에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라고 불리는 첨단운전자보조장치가 기본적으로 탑재됩니다. 이러한 첨단운전자보조장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제동을 하거나 속도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특히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로 여겨지는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ise Control)’은 속도 조절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 아주 편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만, 크루즈 컨트롤 같이 운전자 보조장치들을 너무 과신하게 된다면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되는데요. 실제로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첨단운전자보조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 평가를 진행한 결과, 첨단운전자보조장치가 작동해도 장애물을 피할 수 없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한 크루즈 컨트롤로 인한 실제 사고도 꽤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첨단운전자보조장치를 가지고 진행한 충격적인 실험 결과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고 위험은 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레벨 2 자율주행 기술인 첨단운전자보조장치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시험 대상은 기아 EV3,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BMW 530e 세 대의 차량이었습니다. 첫 번째 시험은 낮시간에 아스팔트 도로를 40km 주행하는 조건이었는데요. 첫 번째 시험은 다행히도 세 차량 모두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잘 감지해 충돌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시험 조건은 낮시간 빗길, 눈 덮인 노면과 유사한 마찰력을 구현한 Basalt, 추행 노면 좌우의 노면 마찰력을 다르게 구성한 스플릿 총 세 개의 노면에서 시속 30km로 달리는 조건이었습니다. 시험 결과, 속도를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세 차량 모두 장애물에 충돌했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빗길, 눈길과 같이 마찰력이 낮은 노면에서 비상자동제동장치의 효과가 떨어진다고 분석했습니다.
비상자동차제동장치 작동 시 운전자의 운전 개입에 따른 해제 조건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졌습니다. 비상자동차제동장치가 전방 장애물을 인식하고 경고를 하거나 제동을 시작할 때,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차량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요. 시험 결과 세 차량 모두 비상자동제동장치가 잘 해제되어 운전자의 의도대로 차량을 조작할 수 있었습니다.
크루즈 컨트롤이라 불리는 적응형순항장치에 대한 시험도 이어졌습니다. 주행하는 차선으로 장애물 차량의 일부가 차선을 침범한 상황을 모사한 시험조건에서 크루즈 컨트롤이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했는데요. 시험 결과 대부분의 차량이 차선을 침범한 장애물을 인식하지 못했고, 일부 차량은 장애물을 잘 감지하고 비상자동제동장치가 작동하기는 했지만 충돌 회피를 못해 운전자가 긴급히 핸들을 돌려야 했습니다.
매년 증가하는 크루즈 컨트롤 사고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크루즈 컨트롤 기능에 과하게 의존하면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됩니다. 실제로 작년 1월에서 7월까지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과하게 사용하다 사망한 사람이 9명에 달할 정도입니다.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잘 활용하면 고속도로와 같은 장거리 주행 시 매우 편하게 운전을 할 수 있지만, 이를 완벽한 자율주행이라 착각하고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할 경우 돌발 상황에 대처를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크루즈 컨트롤 기능은 건조한 노면과 평지를 기준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때문에 노면이 젖어있거나 내리막길과 같은 상황에서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탑승자가 너무 많은 경우나 앞 차량의 속도가 현저히 느리거나 정차한 경우에도 전방 상황을 인식하지 못할 우려가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이 조금씩 보편화되면서 보다 편하게 운전할 수 있는 차량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기술이 아직 발전하는 단계인 만큼 관련 사고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크루즈 컨트롤 기능은 잘 사용하면 매우 편하지만 너무 과하게 사용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운전을 위해 전방주시는 필수고, 언제든 돌발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핸들을 꼭 잡고 크루즈 컨트롤을 사용하는 습관을 꼭 만드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