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CAR

자동차 사고기록장치 확대? 급발진 교통사고 막기 위한 노력과 예방법 알아보기!

2025. 4. 21. 11:00

안녕하세요! 불스원입니다.

 

매일 자동차로 인한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가벼운 접촉사고는 비교적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고, 책임 소재도 확실하게 나눌 수 있죠. 하지만, 교통사고 중에도 책임 소재를 가리기 어려운 사고들이 많습니다. 특히, 뉴스에서 여러 번 화제가 된 급발진 사고는 책임 소재가 운전자에게 있는지, 제조사에게 있는지 확인하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실제로 급발진 사고임에도 이를 입증하지 못해 억울한 사례가 있는가 하면, 급발진 사고가 아니라 엑셀과 브레이크 페달을 헷갈려 발생한 사고임에도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때문에 운전자 개인이 페달 블랙박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많고, 정부에서도 급발진 사고 방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급발진 교통사고를 막기 위한 다양한 노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급발진 교통사고가 발생할 때 마다 화제가 되는 차량용품이 있습니다. 바로 페달 블랙박스인데요. 최근 운전자의 발을 녹화하는 기능을 가진 블랙박스를 차량에 설치하는 운전자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의 급발진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제대로 밟았는지, 엑셀을 밟고 있는지 확인해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관련 기관들도 자동차 급발진 사고를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급발진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 기술분석 및 실차확인조사를 통해 차량의 결함 여부를 확인하고, 사고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교통사고의 원인 규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더 고도화하기 위해 최근에는 사고분석 전용 프로그램 ‘K-AI’를 개발하며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 신뢰성 있는 조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또한, 한국교통안전공단은 EDR이라 불리는 사고기록장치의 기록 항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자동차 안전기준을 개정해 오는 5월부터 시행할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충돌 전후의 상황을 보다 면밀히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속한 사고 예방 기술이 보급될 수 있도록 자동차안전도평가에 페달 오조작 방지 항목을 신설할 계획입니다!

 

점차 줄어드는 자동차 급발진 사고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접수된 급발진 의심 교통사고는 총 111건입니다. 2024년에는 8건의 사고가 신고되며 2020년 대비 68%나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는데요. 이는 전수조사에 나선 이래 최저 기록입니다. 실제로 2024년에는 113, 2017년에는 58, 2023년에는 23건이 신고되며 급발진 의심 사고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급발진 사고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자동차가 의도치 않게 가속할 경우 가장 먼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합니다. 당황스러운 마음에 브레이크가 아닌 엑셀 페달을 밟을 수도 있으니, 침착하게 브레이크 페달을 찾아 밟을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아도 자동차가 멈추지 않는다면 사이드 브레이크라고 불리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를 멈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아무 페달을 밟지 않았는데도 차가 움직인다면, 엑셀 페달에 무언가 있는지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차량의 카매트가 가속페달에 걸리는 경우나, 차안에 굴러다니던 물체가 가속페달을 밟아 의도치 않은 가속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을 깨끗이 청소하고 발매트도 가지런히 정리하는 게 중요하겠죠?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신고 건수는 많이 줄어들었지만, 매년 발생하고 있는 급발진 의심 교통사고! 내 잘못이 아니어도 이를 규명하기가 너무 어려워 고통이 더해지는 사고입니다.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차량의 정비를 꾸준히 하고, 내부의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나 차량이 갑자기 출발하게 된다면 당황하지 말고 브레이크 밟기! 잊지 마세요! 🤞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