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CAR

도로 위의 유령 스텔스 차량 발견했을 때 대처법과 신고방법, 과태료는?

2025. 9. 5. 11:00

안녕하세요! 불스원입니다.

 

야간운전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특히 가로등이 적은 국도나 시골길, 터널 등은 너무 어둡기 때문에 운전에 더욱 신경이 쓰이는 경우가 많죠! , 낮이더라도 어두운 터널을 지날 때면 전조등을 켜고 시야 확보를 해야 사고를 피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렇게 주변이 어두울 때는 안전운전을 위해 전조등과 후미등을 켜고 달려야 내 시야 확보는 물론 뒤 차량에도 신호를 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도 전조등과 후미등을 켜지 않고 달리는 일명 스텔스 차량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오늘은 도로 위의 유령, 스텔스 차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방법과 스텔스 차량을 발견했을 때 신고방법, 과태료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어두운 밤, 끔찍한 사고 유발하는 도로 위의 유령, 스텔스 차량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어두운 도로에서 전조등을 켜지 않아 잘 보이지 않는 스텔스 차량! 스텔스라는 말은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전투기인 스텔스기에서 따온 말인데요. 전조증을 켜지 않고 달리는 만큼 다른 운전자의 시야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스텔스 차량이라는 말이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야간에 전조등을 켜지 않고 달리는 스텔스 차량은 다른 운전자들의 시야에 잘 잡히지 않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빠른 속도로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큰 추돌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출처 © KG모빌리티 블로그

 

지금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의 차도 스텔스 차량이 될 수 있는데요. 요즘 나오는 차들은 대부분 자동으로 전조등이 켜지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스텔스 차량이 될 수도 있다는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차량을 조작하다 자동 전조등 기능을 끄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야간 운전 전에는 반드시 전조등이 켜져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전조등이 고장난 경우에도 스텔스 차량으로 다른 차량에 위협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도 필수입니다.

 

스텔스 차량을 발견했을 때는 어떻게 할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스텔스 차량을 마주하게 되면 사고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스텔스 차량을 발견한다면 속도를 줄이고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 스텔스 차량의 운전자가 전조등을 켜지 않았다는 것을 모르고 있을 수 있으니 뒤에서 상향등을 통해 신호를 줘 전조등이 꺼졌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신호를 보냈는데도 별다른 변화가 있다면 신고를 할 수도 있습니다! 차량 블랙박스에 있는 영상을 증거로 스마트 국민 제보 앱, 안전신문고 앱으로 신고를 하거나 112에 전화해 차량 번호, 위치, 발생 시간들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신고를 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신고를 통해 단속에 걸린 차량에게는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승용차나 승합차는 2만 원의 과태료가, 이륜차는 1만 원의 과태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큰 금액의 과태료는 아니지만 스텔스 차량은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길이 어두울 때는 전조등을 반드시 켜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스텔스 차량 예방을 위해 올해부터 나오는 신차들에는 전조등을 끄는 기능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안전운전 습관이 제일 중요합니다! 또한 전조등을 켜지 않고 주행을 하면 예기치 못한 신고를 당하고 과태료를 내야 할 수도 있는 만큼, 야간운전 전에는 전조등을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관련글